옛날에 어떤 책에서 택시 기하학을 가볍게 접해본 것이 큰 도움이 된듯.
택시 기하학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, 대각선이 불가능하고 꼭 상하좌우로만 계산해야 한다. 이외에는 우리가 아는 유클리드 좌표계와 같은 룰을 따른다.
따라서 원의 정의, 한 점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점의 집합 으로부터 택시 좌표계의 원은 네 변의 길이가 같은 마름모의 형태가 된다. 이는 변*2의 제곱을 통해 큰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고 2로 나누어서 넓이를 구할 수 있다.
from math import pi
n = float(input())
print('{:.6f}'.format((n**2)*pi))
print('{:.6f}'.format((n*2)**2)/2)
코드 자체는 간단하다.

'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004. 어린 왕자 (0) | 2022.06.09 |
---|---|
백준 1002. 터렛 (0) | 2022.06.09 |
백준 2477. 참외밭 (0) | 2022.06.09 |
백준 3034. 앵그리 창영 (0) | 2022.06.09 |
백준 4153. 직각삼각형 (0) | 2022.06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