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Python

[파이썬] 문자열과 숫자열

by Brian Go 2021. 9. 17.

파이썬뿐 아니라 프로그래밍에는 다양한 자료형이 있다. 

제일 큰 기준에서 문자와 숫자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, 오늘은 그 두 타입을 알아보자.

각 타입에 맞는 문법을 써줘야 우리가 의도한 대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!

이 문법도 굉장히 쉬우니 함 가보자.

 

1. 문자열

문자열은 말 그대로 문자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다. 따옴표로 감싸면 된다. 끝이다.

예제를 보자.

print(Hello World!) #error
print("Hello World!") #Hello World!
print('Hello World!') #Hello World!

이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면 알  수 있듯이, 문자열을 출력할 때 아무것도 감싸지 않으면 에러 메세지가 나온다.

대신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뭘 쓰던 상관이 없다!

작은 걸로 시작했으면 작은 걸로 끝나고, 큰 걸로 시작했으면 큰 걸로 끝나기만 하면 된다.

 

여기서 의문이 생길 수 있다. 그러면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으려면 어떻게 하지??

방법은 크게 세 가지이다.

 

1. 다른 따옴표를 쓴다.

print(" '안녕하십니까', 그는 말했다. ") #'안녕하십니까', 그는 말했다.
print(' "안녕하십니까", 그는 말했다. ') #"안녕하십니까", 그는 말했다.

 

2.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를 세 개 쓴다.

print(""" "Hi Brian.", he said. """) #"Hi Brian.", he said.
print(''' "Hello Mr.gibbles." 'Hello!' ''')
#"Hello Mr.gibles." 'Hello!' 두 따옴표 모두 자유롭게 쓸 수 있다.

이런 방식으로 써주면, 안에 어떤 따옴표던 자유롭게 쓸 수 있다. 

 

3.탈출 문자를 쓴다.

개인적으로 가장 애용하는 방법.

print(" \'나를 바보로 알아!\' 나는 생각했다. ") #'나를 바보로 알아!' 나는 생각했다.

이렇게 써주면, 나는 따옴표를 그냥 글자로 쓰겠어! 선언하고 쓰는 것.

 

편한 것을 써주시면 될 것 같다.

 

2. 숫자형

숫자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. 바로 정수와 실수.

엄밀히 말하면 정수가 실수의 부분집합이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정수형으로 소수를 나타낼 수 없다.

 

Integer - 정수

: 0, -1, 3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들.

 

float - 소수(실수)

: 3.2, 1.24123, 3.141592.. 등. 소수점을 floating point 라고 하는데, 때문에 float이라는 숫자형이 된 것.

 

얘네는 출력하면 그대로 나온다.

print(3) # 3
print(2.1324) # 2.1324

그렇다면 도대체 왜 이렇게 복잡하게 자료형을 나눴을까??

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, 우선 둘은 연산 방법이 다르다.

 

문자열을 서로 곱할 수가 있나? 없다.

이런 느낌이라고 보면 되겠다.

#문자열에서 가능한 연산: +, *숫자
print("안녕" + "하세요") #안녕하세요
print("안녕"*5) #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

#숫자열에서 가능한 연산: 사칙연산, 나머지연산, 몫연산
print(1+1) #2
print(3-1) #2
print(2*2) #4
print(4/2) #2

#나머지 연산
print(6%4) #2
#몫 연산
print(8//3) #2

나머지 연산과 몫 연산만 조금 익숙해진다면 전혀 어렵지 않다!

하여튼 핵심은 문자열도 연산은 가능하지만, 숫자열과 엄격히 다르다. 

 

print(1)과 print("1")은 출력값은 같지만,

그 활용이 완전히 다르다는 말.

 

다음 포스팅에서는 이 자료형을 바꾸는 방법과 문자열, 숫자형에 써먹을 수 있는 함수를 알아보겠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