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Linux

[M1 맥북] 리눅스 우분투 설치하기

by Brian Go 2022. 6. 9.

 

죽음의 새학기가 시작되었다. 다전공을 하고 첫 학기인데, 전공필수 수업 중 소프트웨어개발방법및도구 라는 강의를 듣게 되었다. 과제는 무려..

Main os를 리눅스로 한 학기 생활하기.

ㅋㅋㅋㅋ 리눅스를 해본 적도 없는데.. 그래도 다행인 건 맥도 리눅스도 unix 기반이라, 42서울에서 배운 쉘 명령어가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점.

리눅스를 설치하고 매주 레포트를 써서 제출해야 해서 기록차 남긴다.

 


우선 리눅스가 아직 애플 실리콘에 네이티브 지원이 되지 않아서 바로 설치할 수는 없고, 가상 머신을 이용해야 한다.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Virtual box 등은 호환이 안되고, 구글링을 해보니 UTM이라는 가상머신이 사용 가능했다.

https://mac.getutm.app/

여기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.

그리고 우분투 서버도 깔아준다.

m1 칩이 arm 기반이므로 arm 우분투를 깔아줘야 한다. (고 한다)

얘는 지금 실행시켜봐야 실행이 안된다. 이따 쓸 것.

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/arm

 

그렇게 UTM을 다운받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등장한다.

왼쪽 위의 "Create a New Virtual Machine" (새 가상머신 만들기) 버튼을 누르자.

그리고 위쪽 버튼을 누른다.

 

리눅스를 골라주고

browse를 눌러 다운받은 우분투를 넣어준다.

그 후 메모리 설정 등은 우선 작게 해봤다. 어차피 나중에 고칠 수 있단다.

https://mac.getutm.app/gallery/ubuntu-20-04

해당 도큐먼트와 함께 보면 할 수 있다.

 

install ubuntu server를 눌러준다

그러면 ip, 프록시 등등등 설정 페이지가 뜨는데 엔터를 눌러주다가

 

미러 부분을 바꿔준다. 패키지를 받을 때 해당 사이트에서 받아오는데, 국내 미러를 이용하는게 더 빠르고 안정적이라고 한다.

카카오가 빠르대서 mirror.kakao.com 으로 변경.

 

파티션은 아는 게 없으니 시키는 대로 자동으로 하자.

이러면 자동으로 파티션이 된다.

그러면 이제 프로필 설정이 뜨는데, 서버 이름과 서버 비밀번호까지 지정해주면 된다.

 

open ssh 서버는 우분투 설치 후 가능하다고 하니 패스한다.

 

그리고 추천 오픈소스가 이렇게 뜨는데, 우선 건너뛴다.

그러면 이렇게 설치가 된다 !

설치가 끝나면 아래 버튼이 Reboot로 바뀌는데 리부팅을 해주면

아무것도 안 된다 ㅋㅋㅋㅋㅋ

그래서 가상머신 자체를 재부팅시켜준다.

 

---여기서 iso 파일을 clear로 선택해줘야 바로 서버가 로딩된다.

https://blog.chnrit.com/m1-mac-install-ubuntu-vm/

이 글을 많이 참고했다. 감사한 분.

 

그리고 CLI환경이 어색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하면 ubuntu-desktop을 다운받아주면 된다.

$ sudo apt update

$ sudo apt install ubuntu-desktop

$ sudo reboot

순서대로 실행시켜주자.

 

이렇게 현란한 화면이 지나가면서 다운을 받아주고

리부팅을 해주면 ?!

이렇게 gui를 가진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
 

 

'Programming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기본적인 터미널 명령어들  (0) 2022.06.10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