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cd : change directory . cd 디렉토리 식으로 쓰면 해당 폴더로 이동
2. chmod : 권한 변경. user, group, others 차례대로 3비트씩 차지하며, 3비트 2진수로 chmod 111 식으로 x권한을 모두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. 비트 연산이 아닌 경우 상황에 알맞게 u(user), g(group), o(others) 에 +,- r(read), w(write), x(execute) 을 연산해주며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.
3. mkdir : make directory. 디렉토리 생성
4. >, < : stdout을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. echo 안녕하세요 > p 라고 해주면 p에 내용이 들어감
5. cat : 파일의 내용을 읽어준다.
6. man: manual , man 명령어 하면 설명해줌
7. touch : 파일을 생성하거나 시간 등을 수정하게 해준다. 시간 수정은 -t 옵션에 ([YY])[MMDDHHMM] 이였나 포맷을 맞춰주면 된다.
8. find : 자료 찾기. -type 옵션을 통해 찾을 파일의 형식을 지정하거나 .를 통해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아래 모든 디렉토리를 뒤지던가 할 수 있다. -name으로 특정 이름의 파일을 가질 수도 있음
9. rev : stdin을 거꾸로 뱉어준다.
10. cut :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장을 잘라준다. 디폴트는 tab 값을 기준으로 자르고, -b, -c, -f를 통해 특정 위치 바이트나 char 혹은 필드에 있는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. -d 옵션으로 자르는 기준을 바꿔줄 수 있다.
11. tr : trim의 줄임말인 듯. 인자로 주어진 문자열에 포함된 문자를 두번째 인자로 바꿔준다.
-d 옵션을 통해 삭제만 할수도 있다.
12. ls :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생성. -a 옵션으로 모든 숨겨진 파일도 보거나, -l 옵션으로 파일의 상세정보까지 볼 수 있다.
13. ln : 링크 생성. 디폴트는 하드링크, 하드링크는 하나를 바꾸면 둘다 바뀜.
-s 옵션으로 symbolic 링크를 만들 수도 있는데, 얘는 링크를 바꿔도 원본이 바뀜.
touch -h 옵션으로 심볼릭 링크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음...
기억나는대로 업데이트
'Programming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1 맥북] 리눅스 우분투 설치하기 (0) | 2022.06.09 |
---|
댓글